아침사과효능 10가지 매일 아침에 사과를 먹으면 좋은 이유
옛말에 하루에 사과 한 개씩 매일 먹으면 의사를 멀리하게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사과가 우리 몸에 좋다는 것은 다 아실 텐데요. 하지만 사과를 아침에 먹으면 왜 좋은지 공복에 먹으면 더 좋은지 아니면 껍질째 먹는 것이 좋은지 씻지 않고 먹어도 되는지 깊이 알고 있지는 못한 것 같아 구체적으로 알아보려고 합니다.
하루에 한알의 사과를 먹으면 의사도 멀리한다는 말은 사과가 우리 몸에 그만큼 좋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표현한 말인데요. 가장 적절한 사과의 크기는 직경 7cm에 무게가 149g 정도가 좋다고 합니다.
목차
- 사과효능 10가지
- 아침에 사과 먹으면 금인 이유
- 사과의 껍질의 끈적한 성분은
1.사과효능 10가지
- 콜레스테롤 낮춰준다
- 혈압을 낮춘다
- 섬유질이 많아 소화를 돕는다
- 면역력을 높여준다
- 당뇨병에 좋다
- 항산화제는 암을 예방한다
- 알츠하이머와 치매예방에 좋다
- 변비에 좋다
- 다이어트식물이다.
- 빈혈예방에 좋다.
사과 속에는 섬유의 일종인 펙틴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식전 공복에 섭취하면 변비를 예방해 준다. 또한 장내 수분을 흡수하여 배변활동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단단해진 변을 부드럽게 만드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유해 박테리아 및 독소를 제거해 준다.
사과의 섬유는 포만감을 주어 식욕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음식 섭취를 줄일수 있고 과식을 방지한다. 또한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지방 분해에 도움을 주므로 매일 아침 다이어트 식단에 아침사과 1개를 먹어주면 좋다.
사과의 유기산은 위액분비를 돕고 소화를 촉진시켜 소화불량을 개선해준다. 또한 변비나 설사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 위장 장애를 예방하지만 소화기능이 약한 사람은 속 쓰림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한 조각 정도만 섭취한다.
2.아침에 사과 먹으면 금인 이유
가을사과가 좋고 겨울사과가 좋다고 한다. 이는 가장 신선한 제철 과일이기 때문이다. 사과효능을 가장 잘 나타내는 말은 '아침에 먹는 사과는 금이요. 저녁에 먹는 사과는 독이라는 말이 있다. 정확한 의미는 무엇일까?
사과는 장 건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변비를 없애주기 때문에 아침에 사과를 꾸준히 먹으면 배변활동을 좋게하여 변비를 개선한다. 또한 기관지 폐 건강에도 효과가 있는데 사과 속에는 퀘세틴 성분이 있어 미세먼지등 대기오염, 담배연기등 기관지염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아침에 사과를 먹은 후 출근하면 매연으로부터 기관지와 폐건강에 도움이 된다.
그렇다면 정말 아침에 먹는 사과가 효능이 있을까?
사과를 먹는다면 언제쯤 먹는 것이 좋을까? 궁금해서 공부를 해보았다. 아침에 사과를 먹으면 좋은 효능이 있다는 것은 생각보다 간단한 이유에서다.아침에사과는 위액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흡수를 돕고 배변활동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금이지만 반대로 저녁에 사과를 먹으면 위가 약한 사람은 위액분비가 많이 나와 속 쓰림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3.사과 껍질의 끈적한 성분은?
사과를 먹다보면 껍질이 끈적해서 기분이 나쁠때가 있다. 처음엔 농약의 전여물이 남아있는것은 아닐까 찝찝한 마음에 흐르는 물에 여러번 헹궈보았지만 끈적한 성분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그렇다면 사과껍질의 끈적한 성분은 무엇일까?
분명 사과껍질의 끈적한 성분은 농약의 잔여물이 아니라는 것이다. 사과는 익으면서 스스로 만들어 내는 불포화지방산의 일종이다. 불포화지방산은 혈액 혈관 건강에 좋은 물질이 있기 때문에 먹기전에 충분히 세척했다면 껍질째 사과를 먹는것이 좋다.
세척할때는 물에 2분 정도 담근후 흐르는 물에 깨끗히 씻어준다. 껍질째 먹을때는 꼭지 부분의 들어간 부분을 잘라내고 먹으면 된다.
'건강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풍에 좋은 방풍효능 10가지, 방풍나물 채취시기 먹는방법 (1) | 2023.04.06 |
---|---|
마황 효능 9가지 및 에페드린 부작용 마황채취시기와 사용방법 (0) | 2023.04.05 |
암예방에 좋은 해바라기씨 효능 20가지 영양성분과 부작용 (1) | 2023.03.31 |
넝쿨마 열매마 하늘마 10가지 효능(먹는방법) (0) | 2023.03.29 |
독을 풀어주고 열을내려 주어 치료하는 약초 20가지 (청열약초) (0) | 2023.03.28 |
댓글